본문 바로가기

시황정리-Daily

[Today] 24.3.6 오늘의 시황 - BIO(AACR), 반도체, 애플(OLED)

반응형

1) BIO(AACR)

4월 5일부터 10일까지 미국 샌디에고에서 진행되는 AACR(미국 암연구학회)에서 발표하는 기업들에게 집중이 쏟아졌다! 3월5일 초록이 공개되면서 AACR에서 5개 초기 파이프라인 발표하는 ADC 대장주 레고켐바이오(상한가), 에이비엘바이오(14%) 상승했고, 면역항암제 개발하는 신약전문회사 와이바이오로직스(24%), 엔비디아와 손잡은 항암 AI신약물질 완전관해 발표한 파로스아이바이오(14%), 신규 항암제 전임상 결과 4건 발표하는 지놈앤컴퍼니(12%), 항체플랫폼과 이중항체 기술력 공개하는 에이비온(11%) 상승하며 간만에 BIO주의 폭등을 일으켰다.

'세계 3대 암학회' AACR 한 달 앞으로…연초 바이오 훈풍 이어갈까

 

'세계 3대 암학회' AACR 한 달 앞으로…연초 바이오 훈풍 이어갈까

세계 3대 암학회 중 하나로 꼽히는 '미국암연구학회'(AACR)가 한 달 앞으로 다가왔다. 전세계적으로 가장 수요가 높은 항암 영역에서 국산 신약 경쟁력을 가늠할 수 있는 주요 무대다. 앞선 행사에

www.msn.com

** 참고. AACR - 한국 기업 성과 발표 기업리스트

  1. 유한양행 (Yuhan Pharmaceuticals):
    • **면역항암제 YH32367 (ABL105)**과 **YH41723 (IMC202)**의 비임상 연구 결과를 발표합니다. YH32367은 에이비엘바이오와 공동연구해 개발한 면역항암제 후보물질로, 현재 한국과 호주에서 임상1상을 진행 중입니다. YH41723은 이뮨온시아사와 공동개발 중인 2중 타깃 면역항암제로, 학회에서 최초로 공개.
  2. 지놈앤컴퍼니 (Genom&Company):
    • **신규타깃 면역항암제 ‘GENA-104’**의 전임상 결과 4건을 포스터로 발표합니다. 이 중 2건은 의료 인공지능 (AI) 기업 루닛과 공동연구를 진행했습니다. 루닛은 총 7편의 연구 성과를 AACR에서 발표하며, AI 바이오마커 플랫폼 '루닛 스코프’를 활용해 암 치료 분야에서 AI 기술 역할을 입증.
  3. 와이바이오로직스 (Y-Biologics):
    • 항-CD39 항체 ‘AR062’ 연구결과를 공개합니다. AR062는 항-CD39 단일클론항체로, CD39는 세포 에너지원인 아데노신삼인산 (ATP)을 분해해 아데노신으로 변환시키는 기작에 관여하는 단백질.
  4. 파로스아이바이오 (Pharos iBio):
    • **항암제 파이프라인 ‘PHI-101’**과 **‘PHI-501’**의 생체 내 (in vivo) 효능 등 연구 결과 2건을 포스터로 발표합니다. PHI-101은 기존 백혈병 치료제와 병용요법으로 투여했을 때 생체 내 효능을 평가한 결과.

 

2) 반도체(삼성전자 메모리 흑전!, SK하이닉스 HBM3E 엔비디아 샘플공급!)

삼성전자는 흑자전환을 해내고, SK하이닉스는 지난달 엔비디아에 12단 D램 적층 HBM3E의 초기 샘플을 제공했다. 이에, HBM 패키징 대장주인 한미반도체(7%), SK하이닉스에 HBM용 슬러리 공급시작한 동진쎄미켐(9%), CMP장비 및 슬러리 소재 생산하는 케이씨텍(22%), 메모리 모듈 PCB 주력으로 추후 CXL모델에 적용 예정인 티엘비(12%) 상승했다. 또한, 뉴로모픽 기반 AI반도체를 세계첫 개발했다는 소식에 자람테크놀로지(21%), 오픈엣지테크놀로지 (6%), 네패스아크(4%) 상승했다.

[단독]삼성전자 메모리, 1월 '흑자전환' 해냈다 - 머니투데이

 

[단독]삼성전자 메모리, 1월 '흑자전환' 해냈다 - 머니투데이

세계 1위 메모리 기업인 삼성전자가 올들어 메모리 사업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. 지난해 4분기 D램 흑자 전환에 이어 지난 1월 낸드 플래시를 포함한 메모리 부문 전체가 흑자로 돌아선 것이다. 삼

news.mt.co.kr

 

 

3) 애플(OLED)

아이패드 프로 OLED에 삼성(약 1.5조)과 LG(약 2.4조)가 총 4조원의 규모의 납품사로 선정됐다. 이에, LGD와 증착기 공동개발한 선익시스템(7%), 삼성 디스플레이를 통해 애플 아이폰에 탑재되는 OLED 전문업체인 제이엠티(18%), 아이패드 프로향 OLED-PBA 생산하는 한국컴퓨터(6%) 상승했다.

아이패드 프로 OLED, 삼성·LG '4조 싹쓸이'

 

아이패드 프로 OLED, 삼성·LG '4조 싹쓸이'

아이패드 프로 OLED, 삼성·LG '4조 싹쓸이', 패널 850만장 납품하기로 中 제치고 국내 업체 독식

www.hankyung.com